2024-09-08 HaiPress
80년 유공 인수당시
종합에너지社 비전
“한두번 실패했다고
중단하면 성과없어”
도전정신 계승 SK
올해 말레이서 쾌거
최종현 선대회장(왼쪽에서 두번째)이 1981년 초 내한한 야마니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장관(오른쪽에서 두번째)과 담소를 나누는 장면. 최종현 선대회장은 제 2차 석유파동 당시 사우디아라비아와 ‘석유외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원유공급 문제를 해결했다. 1980년 11월,고(故) 최종현 SK 선대회장은 당시 유공(현 SK이노베이션)을 인수한 뒤 유공 사장에 취임했다. 그는 석유를 뛰어넘는 ‘종합에너지기업’ 비전을 설계하면서 “유공을 정유회사로만 운영할 게 아니라 가스,전기,에너지축적배터리,원자력,태양에너지 등을 포함하는 종합에너지회사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종현의 꿈은 올해 11월 출범하는 통합 SK이노베이션으로 현실화된다. 이 회사는 석유부터 화학,배터리,액화천연가스(LNG),재생에너지,발전까지 광범위한 에너지 사업을 다룬다.
최 선대회장의 기업가정신이 만들어 낸 대표적 성과는 자원개발을 통한 경제영토 확장이다. 그는 아프리카 유전개발에 실패한 직후 “석유개발은 한 두 해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한두 번 실패했다고 중단하면 아무 성과가 없다”며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SK는 1984년 7월,예멘 마리브 유전에서 석유를 발견했다는 낭보를 전했다. 추정 매장량은 10억배럴. 이어 1987년 12월부터 하루 15만배럴의 원유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최 선대회장은 기쁨에 취하는 대신 10년 후를 내다보고 다시 자원개발에 나섰다.
이후 석유개발은 실패를 거듭했다. 1989년 미얀마에서 5600만달러를 쏟아부었지만 석유는 나오지 않았다. 그래도 최종현은 흔들림이 없었다. 최 선대회장은 “비록 미얀마 사업이 실패하긴 했지만 실망하지 말라”면서 “앞으로 10년간 또 투자하겠다”고 강조했다.
유공은 1994년 이집트 북자파라나광구에서 원유생산에 돌입했고,그 해 호주 토가라 지역 탄광에서 유연탄 7억7000만톤을 개발했다. 이는 한국기업의 해외자원개발 사상 최대 규모였다.
최 선대회장의 도전은 동남아의 새로운 기회로 연결되고 있다. 8일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인 SK어스온은 말레이시아 사라왁주 해상에 있는 ‘케타푸 광구’의 운영권과 지분 85%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개발 타당성 검증과 개발 단계를 거쳐 2031년부터 생산을 시작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광구는 지난해부터 생산에 돌입한 남중국해 광구보다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SK이노베이션은 1983년 자원개발 사업에 진출한 이후 8개국 10개 광구,3개 LNG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이 같은 성과는 최 선대회장의 자원개발 집념 덕분이다.
1회 4680원 보험료 내고 깁스하면 10만원 드립니다…ABL생명 미니보험 [알쓸금잡]
저금리 시대 오니 4.5% 파킹통장에 MZ 17만명 몰렸다
APEC 정상들 세라젬 안마의자 체험한다
‘불기둥’ 주식은 무섭고 예금금리는 아쉽다면
“사장님, 금리 깎아드립니다” 신한카드, 성실상환 소상공인에 3.0%P 금리감면
검은색은 칙칙해…파스텔톤 프라이팬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