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9 HaiPress
바이오·반도체 등 44개 과제
2028년까지 6840억원 투입
R&D [사진제공=연합뉴스] 정부가 연구개발(R&D) 국제화 차원에서 추진하는 국제 공동 R&D 프로젝트에 매사추세츠공대(MIT),하버드대를 비롯한 해외 유수 기관과 노벨상 수상자 등 저명 연구자들이 참여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바이오,반도체,로봇,배터리,미래 모빌리티,디스플레이 등 6대 첨단산업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연구기관과 국내 기업이 협력하는 최대 100억원 규모의 중대형·중장기 산업기술 국제 공동 R&D 과제 44개를 1차로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공모를 거쳐 이뤄졌다. 공모에는 247개 과제가 접수돼 경쟁률은 5.6대 1에 달했다.
선정된 과제들은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간다. 선정 과제 R&D에는 MIT,하버드 의대,케임브리지대,예일대,아르곤 국립 연구소 등 해외 세계 최상위권 대학과 연구기관들이 참여한다.
이들 기관과 짝을 이뤄 삼성디스플레이,한화,한독,LG전자,HD현대중공업,효성중공업,HD현대인프라코어,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국내 기업이 참여한다.
산업부는 선정된 과제의 R&D에 2023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모운지 바웬디 MIT 교수,2014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나카무라 슈지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SB) 교수 등 세계 최고 석학이 다수 참여해 국내 기업의 시야를 넓히고 우수 성과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시력과 청력의 노화를 역전시키는 mRNA 신약’(MIT,한올바이오파마),‘항생제의 내성·독성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신약’(하버드의대,한독) 등 바이오 분야의 과제들이 이번에 선정됐다.
또 ‘세계 최고 엔진 개발 기업의 원천 기술을 활용한 초대형 수소 엔진’(AVL,HD현대중공업),‘뇌혈관 시술을 위한 고정밀 로봇시스템’(존스홉킨스,엘엔로보틱스),‘차세대 건식 전극 제조 기술’(프라운호퍼,나노인텍),‘초미세 반도체 제조를 위한 원자 수준의 차세대 패터닝 소재·공정’(스탠퍼드,동진쎄미켐) 등 반도체,이차전지 분야의 과제도 포함됐다.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금값 오르는데, 사야지”…은행권 금계좌에 1조1000억 뭉칫돈
한은 총재 “금리 낮출 것…부동산 가격 올리는 부채질은 바람직하지 않아”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수도권에선 주담대 받기 더 힘들어지겠네”…이달 3단계 대출 규제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