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0 IDOPRESS
산업硏 전문가 서베이 지수
제조업 주요업종 기준치 미달
반도체 업황이 새해 들어 더 큰 폭으로 꺾였다. 제조업 업황은 다음달부터 다소 볕이 들 것으로 기대되지만 반도체 업황은 부진을 지속할 전망이다.
19일 산업연구원이 조사업체 메트릭스에 의뢰해서 국내 주요 업종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에 따르면 1월 반도체 업종 현황 PSI는 56으로 지난달 82 대비 26포인트 하락했다.
PSI는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산식에 따라 정량화된 지수다. 100을 기준치로 하는 PSI는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 대비 개선 의견이,0에 근접할수록 악화 의견이 많음을 뜻한다. 1월 조사는 이달 6~10일 전문가 총 120명이 참여해 이뤄졌다.
2월 반도체 전망 PSI는 83으로 이달보다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기준치인 100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제조업 전체 1월 PSI는 88로 전월 대비 7포인트 상승했지만 기준치를 하회했다. 1월 제조업 현황 PSI는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것이지만 반도체,기계,화학 등 다수 업종이 기준치를 밑돌았다. 내수(87)와 수출(97)도 기준치에 못 미쳤다. 다만 수출은 8개월 만에 상승했다.
[신유경 기자]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금값 오르는데, 사야지”…은행권 금계좌에 1조1000억 뭉칫돈
한은 총재 “금리 낮출 것…부동산 가격 올리는 부채질은 바람직하지 않아”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수도권에선 주담대 받기 더 힘들어지겠네”…이달 3단계 대출 규제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