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2 HaiPress
복지부 치매 실태조사
노인 10명중 1명이 치매
위험군 '경도인지장애' 급증
노인 치매 환자가 내년이면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치매 확률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비중이 크게 오르고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치매 환자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보건복지부 '치매역학 및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 환자 수를 뜻하는 치매 유병률은 2023년 9.25%로,2016년 9.5% 대비 감소했다. 다만 치매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비중은 같은 기간 22.25%에서 28.42%로 크게 올랐다. 경도인지장애는 기억력,언어능력 등이 객관적인 검사에서 확인될 정도로 저하돼 있으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돼 있는 상태다. 통상 10~15%가 치매나 알츠하이머병으로 이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치매 유병률이 줄어든 요인으로는 1차 베이비붐 세대인 1955년 출생자가 65세 이상으로 진입한 데 있다고 복지부는 분석했다. 이들은 기존 고령층보다 교육 수준이 높고,음주와 흡연 등 건강 상태가 점진적으로 개선됐다.
다만 전체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치매 환자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치매 환자는 101만4865명으로,예상돼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2044년에는 이 수치가 200만7848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인선 기자]
액상담배 규제법 제동···기재위 문턱 넘자 법사위서 막혀
1470원대도 위태로운 원화값…‘771조’ 국민연금, 환율 소방수로 나서나
“자동차 바꿀 계획이 있다면 다양한 저금리 혜택을 누리세요”
증시 훈풍에 지방금융도 들썩?…위기의 지방은행, 몸값 높아지는 이유
“女농민, 일하다 화장실 없어 불편” 한마디에…농막 화장실 등 규제 대폭 완화
“지금이라도 안 사면 손해”…가계대출 한달 새 4.8조 ‘쑥’ 4배 급증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