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HaiPress
말 한마디로 사람의 기품이 결정된다. “어머님,존함이 어떻게 되세요”라고 물었을 때 “김 매자 경자 쓰십니다”라는 대답이 돌아오면 생각한다. “아,좀 배운 사람이구나”. 나이가 지긋하신 웃 어른에게도 “헤이 토니~”라고 외치는 영미권과는 매우 다른 문화. 높은 사람의 이름을 대놓고 부르는 건 동아시아의 유교 예법에 어긋나서다.
사람의 이름을 부르는 걸 피하는 행위는 오래된 관습이다. ‘피휘’(避諱)라고 한다. 유교가 이 땅에 터를 잡으면서 생긴 문화인데,이 흔적이 지금도 우리 일상생활 곳곳에 남아 있다.
유방을 피해 생긴 나라 국(國)
오늘날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단어 중 하나는 ‘국가’(國家)일 것이다. 이 역시 ‘피휘’로 인해 사용된 단어였다. 아주 먼 옛날 중국에서는 ‘나라’를 뜻하는 말로 ‘방’(邦)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1회 4680원 보험료 내고 깁스하면 10만원 드립니다…ABL생명 미니보험 [알쓸금잡]
저금리 시대 오니 4.5% 파킹통장에 MZ 17만명 몰렸다
APEC 정상들 세라젬 안마의자 체험한다
‘불기둥’ 주식은 무섭고 예금금리는 아쉽다면
“사장님, 금리 깎아드립니다” 신한카드, 성실상환 소상공인에 3.0%P 금리감면
검은색은 칙칙해…파스텔톤 프라이팬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