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담 자랑하는 KAIST 학생들 “안심하세요. 삶은 원래 절망에 끼어 놉니다”

2025-11-06 HaiPress

5일 KAIST 망한 과제 자랑 대회


댄스경연대회 30번 떨어지고


학기말 시험 망하고 장학금 잘려도


“괜찮아요. 실패에서 배웁니다”

5일 KAIST에서 열린 ‘망한 과제 자랑 대회’에 참가한 발표자들과 행사 관계자들. KAIST는 실패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문화를 위해 2년 전부터 매년 망한 과제 자랑 대회를 열고 있다. [사진=최원석 기자] 주변에서는 늦바람이 들었다고 했다. 허도영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석사과정생은 학부 3학년 때 스트릿댄스 동아리에 들어갔다. 남들은 하던 동아리도 그만두고 나올 때다. 살면서 한 번도 춤춰본 적도 없는 그는 우연히 본 스트랫댄스 동아리 공연이 마음에 들었고,그 길로 동아리에 입단했다.

댄스의 길은 험했다. 뒤늦게 시작한 만큼 열심히 했다. 수업과 연구 활동을 다 끝내고 새벽 시간에 나와 연구실 구석에서 연습했다. 하지만 참가하는 댄스경연대회마다 예선에서 떨어졌다. 심사위원들이 본선 진출자 명단을 말할 때,그의 이름은 한 번도 불리지 않았다. 그렇게 떨어진 예선만 30번이 넘는다.

‘KAIST생’ 특유의 탐구심이 불타올랐다. 허씨는 자신의 춤에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전공을 살려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춤 연습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어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배율을 조절하며 자신의 춤을 촬영했고,그는 그 영상을 참고해 자신의 춤 동작을 수정해나갔다. 앱을 개발하고 몇 달이 지나 허씨는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허씨는 이 사례를 KAIST가 5일 연 ‘망한 과제 자랑 대회’에서 공유했다. 허씨는 “실패가 없었다면 이 앱은 개발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성공보다 실패에서 배우는 게 훨씬 많다”고 했다.

망한 과제 자랑 대회는 KAIST 실패연구소가 실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행사다. KAIST는 2년 전부터 시작한 실패학회는 올해 3번째를 맞았다. 망한 과제 자랑 대회는 실패학회에서도 KAIST 학생들의 가장 큰 호응을 얻는다. KAIST 학생들이 공유한 실패담에는 각각 교훈이 들어있었다.

이날 행사장에는 KAIST 학생들로 이뤄진 8개 팀이 각자의 실패담을 공유했다. 저녁 늦은 시간에도 KAIST 학생들은 행사장을 가득 채웠다.

“언제나 실패를 극복할 필요는 없다.” 전지윤 KAIST 기계공학과 학생은 ‘망한 지난 1년’을 그대로 받아들였다고 했다. 전씨는 지난해 가을부터 쓰라린 실패를 연거푸 경험했다. 하던 프로젝트는 실패했고,동아리와 학생회는 갈등 때문에 흩어졌다. 친구와 관계도 틀어지고,학기말 시험도 크게 망쳤다.

모든 게 하기 싫어졌고 무기력의 늪에 빠졌다. 올해 봄 학기에 가장 중요했던 과제를 미루다 결국 제출 마감일을 15일이나 어겼다. 학교에서 주던 장학금도 잘렸다. 모든 걸 포기하고 싶을 때 그는 “지금 같은 순간이라도 스스로를 사랑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힘든 순간에도 자신을 사랑한다면 앞으로 살아갈 날들은 훨씬 스스로가 사랑스러울 것이기 때문이다.

전씨가 마련한 부스에는 “삶은 절망에 끼어 노는 습성이 있으니 안심하세요”라는 문구가 적혀있었다.

전지윤 KAIST 기계공학과 학생이 자신의 부스에 붙여놓은 종이. [사진=최원석 기자] “도망치는 것은 때로 도움이 된다.” 김윤정 KAIST 물리학과 석박사통합과정생은 학부생 때부터 지금까지 연구실을 다섯 번이나 옮겼다. 학부생 때부터 양자정보이론 분야를 너무나 공부하고 싶었고 해당 연구실에서 석사과정을 한 학기 넘게 다니기도 했다. 하지만 현실의 벽은 높았다. 꿈에 그리던 양자정보이론에는 복잡한 수학 이론이 가득했고,자신이 재능이 없다는 걸 깨달았다.

다시 연구실을 옮길까 수없이 고민했다. 이미 네 번이나 옮겼는데 한 번 더 못할 이유가 없었다. 문제는 남들의 시선이었다. ‘그렇게 양자정보이론을 하고 싶다고 하더니 금방 포기하네’라는 말을 주변에서 할 것만 같았다. 김씨는 고민하다 용기를 냈고,이로과 실험이 결합된 메타포토닉스 연구실로 옮겼다. 지금 연구나 즐겁고 행복하다고 했다.

김씨는 “스스로의 실패를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며 “실패한다고 해서 그간의 과정이 모두 무의미해지는 게 아니다”라고 했다. 양자정보이론을 위해 수년간 공부했던 내용은 메타포토닉스에도 유용했다. 김씨는 “무의미하다고 생각했던 점들이 결국은 다 이어지더라”며 자신의 지난 논문들을 보여줬다. 메타포토닉스 분야의 논문은 아직 없지만,조만간 채워질 계획이다.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삼성전자

005930,KOSPI

99,700

- 0.89%

NAVER

035420,

KOSPI

267,500

- 3.95%

삼성전자

현재가 99,700

-0.89%

11.06 10:18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시스템 반도체,모바일,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IT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생산하는 글로벌 종합 전자기업으로,반도체 설계·제조 기술력,대규모 생산능력,글로벌 브랜드 파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KAIST 학생이 인공지능(AI) 기반 춤 연습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사례는 AI와 첨단 기술의 실제 활용과 혁신적 시도가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삼성전자는 AI 반도체,모바일 디바이스,스마트 센서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으며,반도체 산업은 AI,클라우드,스마트폰 등 수요 변화와 글로벌 공급망 이슈,미중 기술 경쟁,인공지능 기술 발전 등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신기술 도입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NAVER

현재가 267,500

-3.95%

11.06 10:18

네이버는 검색,포털,AI,핀테크,콘텐츠 등 다양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최대 IT 플랫폼 기업입니다. 자체 개발한 AI 기술과 방대한 데이터,국내외 사용자 기반을 바탕으로 플랫폼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국내외 빅테크 기업 간 경쟁,AI 기술 고도화,개인정보보호 규제,디지털 광고 시장 변화 등 외부 환경이 사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AI,글로벌 진출 등 신사업 확대와 기술 투자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이공계 인재 확보와 산학협력이 장기 경쟁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KAIST 실패연구소 설립이 대학 혁신 문화에 미친 영향은?

망한 과제 자랑대회 확산이 한국 사회 실패 인식 변화에 미칠 파급 효과는?

검색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2009-2020 서울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