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2 HaiPress
수목유통 스타트업 루트릭스
중간마진 없앤 신시장 개척

건축물 조경에 사용되는 좋은 소나무를 한 그루 산다면 얼마나 할까. 대략의 가격 범위라도 있으면 좋겠지만 아직 한국에서는 말 그대로 부르는 게 값이다.
안정록 루트릭스 대표(사진)는 이 같은 '깜깜이' 시장 구조로 인한 공급자·수요자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내 600여 개 산림 농장에서 발품을 팔며 수목 정보를 모았다. 이를 바탕으로 수목 데이터 수집·유통 스타트업을 2021년 11월에 설립했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조경설계 석사 학위를 받은 안 대표가 세운 루트릭스는 온라인으로 조경 업체 등이 수목 구입을 신청하면 협력 농장을 통해 이들이 원하는 품종·수량·가격대의 수목을 사서 유통한다.
안 대표는 최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기본 데이터를 모으는 데만 1년 넘게 걸렸고,50개 품목 이상의 수종을 국내 대형 골프장,호텔 리조트를 비롯한 50여 개 회사에 제공하고 있다"며 "8조원 정도 되는 국내 조경 시장에서 2~3년 안에 유통 1위가 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루트릭스는 전국 산림 농가 중 60%,국내 전체 조경 수종 중 77%의 정보를 확보하고 있다. 중개업자를 거치지 않고 농장과 수요자를 직접 연결해주기 때문에 수수료를 대폭 낮출 수 있었다. 지난해 말부터 본격적으로 유통을 시작했는데,올해 상반기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5배나 늘어날 정도로 실적이 쑥쑥 크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232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미국 조경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목표다. 안 대표는 "미국에도 아직 수목 데이터와 유통 플랫폼 등이 갖춰져 있지 않아 2027년께 미국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루트릭스는 GS건설의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인 엑스플로인베스트먼트 등에서 지금까지 총 16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조희영 엑스플로인베스트먼트 팀장은 "개척되지 않은 분야에서 디지털화를 이루겠다는 열정과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은 점을 보고 투자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박준형 기자]
액상담배 규제법 제동···기재위 문턱 넘자 법사위서 막혀
1470원대도 위태로운 원화값…‘771조’ 국민연금, 환율 소방수로 나서나
“자동차 바꿀 계획이 있다면 다양한 저금리 혜택을 누리세요”
증시 훈풍에 지방금융도 들썩?…위기의 지방은행, 몸값 높아지는 이유
“女농민, 일하다 화장실 없어 불편” 한마디에…농막 화장실 등 규제 대폭 완화
“지금이라도 안 사면 손해”…가계대출 한달 새 4.8조 ‘쑥’ 4배 급증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