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2 HaiPress
관동 대지진 후 조선인들을 학살한 사건을 담은 다큐멘터리 ‘1923 간토대학살’.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간토대학살을 고발해 온 한일 양국 추적자들의 고군분투를 다룬 영화로,희생자 6,661명을 위한 진혼곡이라고 할 수 있다.
※ 본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될 만한 줄거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진 (주)인디컴,스튜디오 반) “눈 감아라 내 아내여 내 등에 업혀 고향 가자~ 눈 감아라 내 아기야 고향 집 갈 때까지 눈뜨지 마라” 가수 김현성이 OST 음원에 동참해 실제 강변에서 열린 희생자 추모제에서 꽃상여와 시민단체가 희생자들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종이 조형물을 설치한 강 앞에서 ‘귀향 1923’을 부르는 장면은 모든 관객을 울컥하게 만든다. 영화 ‘기생충’ 번역가로도 잘 알려진 달시 파켓이 본편 영자막을 감수를 맡았으며,배우 김의성이 전체 내레이션을 맡았다. 한일 근대 사진 수집가 정성길 교수가 40년간 전 세계에서 수집해 온 3,500장의 사진들을 보고 간토대학살을 알리기로 마음 먹었다는 김태영 감독이 최규석 감독과 공동 연출을 맡았다.100년 동안 외면해 온 정부에 맞서 40년 이상 조선인 학살을 추적해 온 일본 시민단체 등 영화보다 더 영화 같았던 실제 역사가 주는 묵직함이 영화의 힘을 끌고 나간다. 실제로 일본 시민들이 만든 추모비와 추모제 등의 영상이 대거 등장하는데,그들의 수고에 감사함과 반성까지 느끼게 된다. 러닝타임 116분.
(사진 (주)인디컴,스튜디오 반) [글 최재민 사진 (주)인디컴,스튜디오 반][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947호(24.9.17-24 추석합본호) 기사입니다]액상담배 규제법 제동···기재위 문턱 넘자 법사위서 막혀
1470원대도 위태로운 원화값…‘771조’ 국민연금, 환율 소방수로 나서나
“자동차 바꿀 계획이 있다면 다양한 저금리 혜택을 누리세요”
증시 훈풍에 지방금융도 들썩?…위기의 지방은행, 몸값 높아지는 이유
“女농민, 일하다 화장실 없어 불편” 한마디에…농막 화장실 등 규제 대폭 완화
“지금이라도 안 사면 손해”…가계대출 한달 새 4.8조 ‘쑥’ 4배 급증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