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05 HaiPress
유네스코 '등재 권고' 판정
콩을 발효시켜 간장과 된장,고추장을 만드는 우리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사실상 등재됐다.
5일 유네스코가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는 '한국의 장 담그기(jang making) 문화'를 심사해 '등재 권고' 판정을 내렸다. 최종 등재를 한 달 앞두고 등재 권고가 뒤집히는 일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사실상 등재 수순을 밟은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국가유산청도 이날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이날 오전 8시(현지시간 5일 자정) 공개된 심사 결과,등재 권고 판정을 받았다"며 "최종 결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종 등재 여부는 오는 12월 2∼7일 파라과이의 수도 아순시온에서 열리는 제19차 무형유산위원회 논의를 거쳐 결정된다.
공식 등재 시 '장 담그기 문화'는 한국의 23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된다. 장은 한국인의 밥상에서 빠질 수 없는 존재이자 오랜 시간 자연 발효를 거쳐 숙성되는 건강 식품이다. 우리나라는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년)을 시작으로 최근에 등재된 '한국의 탈춤'(2022년)까지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 총 22건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북한의 '조선옷차림풍습'도 등재를 권고받았다. 북한은 현재 '아리랑' '김치 담그기' '평양냉면' 등이 등재돼 있으며,'조선옷차림풍습'이 등재된다면 총 5건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된다.
[이향휘 선임기자]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금값 오르는데, 사야지”…은행권 금계좌에 1조1000억 뭉칫돈
한은 총재 “금리 낮출 것…부동산 가격 올리는 부채질은 바람직하지 않아”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수도권에선 주담대 받기 더 힘들어지겠네”…이달 3단계 대출 규제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