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5 HaiPress
서울시,알테쉬 판매 제품 조사
불임·조산 등 생식기능에 영향
화장품·장갑 등도 기준치 초과
서울시가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제품을 검사한 결과 휴대폰케이스 등에서 검출된 발암물질이 국내 기준치를 크게 초과해 주의가 필요하다.
5일 서울시는 12월 첫째 주 해외직구 온라인플랫폼 판매 제품 284건에 대한 안전성 검사 결과 총 16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납,6가 크로뮴 등 중금속이 검출되는 등 국내 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검사 완료 제품은 위생용품 46건,화장품 35건,식품용기 66건,의류 및 일상용품 137건 등이다. 검사 결과 쉬인·테무에서 판매한 휴대폰케이스 3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총함유량이 국내 기준치의 최대 252.3배를 초과한 25.23%가 검출되는가 하면 납 함유량은 국내 기준치의 최대 1.5배를 넘는 440㎎/㎏이 검출됐다. 프탈레이트류는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 정자수 감소·불임·조산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치며,특히 국제암연구소에서 인체 발암가능물질(2B등급)로 분류하고 있어 인체에 장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화장품의 경우 알리의 눈썹 틴트 2개 제품에서 메탄올이 국내 기준치의 18배를 초과한 3.604%가 검출됐다. 메탄올은 눈 및 호흡기에 심한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밖에 재킷,지갑,벨트,장갑 등 가죽 8개 제품에서는 6가 크로뮴이 기준치를 크게 초과해 검출됐다.
[안병준 기자]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금값 오르는데, 사야지”…은행권 금계좌에 1조1000억 뭉칫돈
한은 총재 “금리 낮출 것…부동산 가격 올리는 부채질은 바람직하지 않아”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수도권에선 주담대 받기 더 힘들어지겠네”…이달 3단계 대출 규제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