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0 HaiPress
10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물가 상승과 기후변화 등으로 올해 설 차례상을 차리는 데 평균 30만2000원이 들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0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설 3주 전인 지난 7∼8일 서울 25개구의 90개 시장과 유통업체들의 설 제수용 23개 품목 가격을 조사한 결과 설 제수 평균 구입 비용(4인 기준)은 30만2418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유통채널별로는 전통시장(24만1450원),일반 슈퍼마켓(25만6223원),기업형 슈퍼마켓(30만6445원),대형마트(31만5499원),백화점(45만4356원) 등 순이다. 가장 비싼 백화점을 제외하면 평균 비용은 약 28만원으로 낮아진다.
전통시장은 대형마트보다 축산물(-36.3%),수산물(-31.7%),기타식품(-31.3%),채소·임산물(-28.5%) 가격이 모두 저렴했다.
제수 23개 품목의 가격을 작년 설 물가 1차 조사 때와 비교해 보면 12개 품목이 오르고 11개 품목이 하락했다.
인상률은 시금치 값이 24.3%로 가장 높았다. 이어 배 18.1%,쇠고기(산적용·일반육) 16.4%,대추 14.8%,돼지고기(수육용·목삼겹) 14.0% 순이다.
시금치와 배는 모두 생산량 감소가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계란값은 한 판에 평균 7637원으로 작년보다 8.6%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대비 가격이 하락한 제품은 단감(-28.4%),곶감(-16.2%),숙주(-13.1%),삶은 고사리(-10.8%),사과(-7.2%) 등으로 나타났다. 단감과 사괏값은 작년보다 수급이 안정되면서 내렸다.
품목별로 보면 축산물류가 12.3%로 가장 많이 상승했고 채소·임산물류와 기타 식품류가 각각 2.1%,0.2% 올랐다. 반면 과일류(-6.4%)와 가공식품류(-1.8%),수산물류(-0.6%)는 작년보다 가격이 하락했다.
작년 설에 많이 오른 과일류는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였으나 배 가격은 18.1% 올랐다.
녹색소비자연대 등 10여 개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올해도 설 명절 1주 전 2차 가격 조사를 통해 물가를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농식품부가 설 대책 기간인 3주간 10개 성수품 공급량을 평소 대비 1.6배 늘려 16만8000t(톤)을 시장에 공급하기로 한 만큼 소비자들은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정부 할인 등을 꼼꼼히 확인해 합리적인 소비를 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금값 오르는데, 사야지”…은행권 금계좌에 1조1000억 뭉칫돈
한은 총재 “금리 낮출 것…부동산 가격 올리는 부채질은 바람직하지 않아”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수도권에선 주담대 받기 더 힘들어지겠네”…이달 3단계 대출 규제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