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3 HaiPress
물김 하락에도 마른김 폭등
국내산고등어도 54% 급증
마른김 평균 소매가격이 한장당 150원을 넘는 등 수산물 가격이 치솟는 가운데 13일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 마른김 묶음이 놓여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해가 바뀌어도 국민 반찬인 김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설 명절 서민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다. 마른 김 한 장의 가격은 전년 대비 1.5배 수준으로 뛴 것으로 나타났다. 마른김의 원재료인 물김 생산량은 늘어났지만 아직 마른김으로 가공되지 못해,마른김 가격은 여전히 고공행진이다.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마른김(중품) 10장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10일 기준 1562원이다. 한 장에 150원을 돌파한 셈이다. 마른김 평균 소매가격은 1년 전 10장에 1054원으로,한 장에 100원꼴이었다. 1년 사이 가격이 49% 올라 장당 50원 비싸진 꼴이다.
마른김 평균 소매가격이 한장당 150원을 넘는 등 수산물 가격이 치솟는 가운데 13일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 마른김 묶음이 놓여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소매가격은 1개월 전 1300원대에서 꾸준히 높아졌다. 지난 3일 1429원에서 일주일 만에 130원 넘게 상승했다. 지난 9일 1528원으로 1500원대를 넘었고 하루 만에 34원이 더 올랐다.
특히 전통시장이 아닌 마트 가격은 2070원까지 높아져 장당 200원꼴이다. 소매가격뿐만 아니라 도매가격도 높다.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지난 10일 기준 1속(100장)당 1만1860원으로 1년 전(7487원)보다 58% 뛰었다.
해수부는 시간이 더 지나면 김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기대한다. 해수부 관계자는 “물김은 생산량이 많아 가격이 하락 반전했고,1월 말쯤이면 마른김 가격도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김 수출 물량이 증가하면서 물김 가격은 이례적으로 폭등한 바 있다.
김 외에도 수산물 물가는 전반적으로 설 명절을 앞두고 오름세가 가팔라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12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 올랐는데 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3.1%로 훨씬 높았다. 농산물 물가 상승률 2.6%보다도 높은 수치다.
국민 생선인 고등어도 장바구니를 무겁게 만들고 있다. 고등어 국산 염장 중품 한 손(두 마리)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10일 기준 6276원으로 작년보다 37% 비싸고 평년보다 54% 올랐다.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금값 오르는데, 사야지”…은행권 금계좌에 1조1000억 뭉칫돈
한은 총재 “금리 낮출 것…부동산 가격 올리는 부채질은 바람직하지 않아”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수도권에선 주담대 받기 더 힘들어지겠네”…이달 3단계 대출 규제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