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2 HaiPress
HR 플랫폼의 73만건 근태 데이터 활용
지난해 10월 ‘황금연휴’ 기간 연차 사용 분석
HR 플랫폼 플렉스가 분석한 임시공휴일 황금연휴 기간 연차 사용률 데이터 인포그래픽 [사진 = 플렉스] 공휴일과 임시공휴일 등이 겹쳐 만들어지는 ‘황금연휴’ 기간에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추가적인 연차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연차를 내면 장기 연휴를 만들 수 있음에도 장기 여행에 대한 금전적인 부담,직장 내 눈치 등의 이유로 짧은 연휴를 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월 임시공휴일과 설날의 황금연휴가 다가오면서,인적자원관리(HR) 플랫폼 플렉스는 최근 황금연휴 기간 중 자사 플랫폼 이용자의 근태 데이터 약 73만건을 분석한 이같은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플렉스는 10월 3일(목) 개천절,9일(한글날)에 더해 1일(화) 국군의날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됐던 지난해 10월 연휴 기간 데이터를 분석했다. 해당 기간은 9월 30일과 10월 2,4,7,8,10,11일 등 평일 7일에 모두 연차를 쓸 경우 최장 16일의 연휴가 주어지는 이례적 시기였다.
플렉스가 해당 기간 연차 사용자의 비율을 살핀 결과,하루라도 연차를 사용한 직장인은 31.6%에 그쳤다. 10명 중 7명은 지난해 황금연휴 기간에 하루도 연차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연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휴일 사이에 딱 하루만 연차를 사용하며 짧은 연휴를 선택하는 사례가 많았다. 연차를 하루 사용해 4일 연속 쉰 직장인이 14.2%로 가장 많았으며,5일 연휴를 만든 경우는 3.0%,6일 연휴를 만든 경우는 2.9% 수준이었다.
플렉스는 짧은 연휴 경향의 이유로 경제 불황에 따른 장기 여행 부담,맞벌이 가구의 연차날짜 통일 어려움,고용 한파 및 고용인원 감축으로 인한 직장 내 눈치 등의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는 1월 설 연휴뿐만 아니라 5월 근로자의날-어린이날-석가탄신일(대체공휴일),10월 개천절-추석-한글날 등 징검다리 연휴가 많아 임시공휴일 추가 지정 가능성도 관측된다.
플렉스 관계자는 “객관적인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휴 기간 중 연차 사용 추이를 지속적으로 분석해 인사이트를 내놓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금값 오르는데, 사야지”…은행권 금계좌에 1조1000억 뭉칫돈
한은 총재 “금리 낮출 것…부동산 가격 올리는 부채질은 바람직하지 않아”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수도권에선 주담대 받기 더 힘들어지겠네”…이달 3단계 대출 규제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