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6 HaiPress
‘보호나라’ 등 앱 활용해
메세지범죄 의심 조회
안심차단 서비스로 대출 막기도
챗GPT가 그린 보이스피싱 당한 소비자의 모습. <챗GPT> “설날 선물세트가 주소 오류로 배송 지연 중이다. 아래 URL로 주소를 확인해달라”
선물이 오가는 설 연휴 누구나 의심 없이 쉽게 눌러볼 수 있는 문자다. 그러나 고민 없이 이러한 문자에 첨부된 URL로 접속했다간 악성 앱이 스마트폰에 깔려 금융 범죄에 노출될 수 있다.
설 연휴를 틈타 이처럼 설 선물 배송 사칭 등 금융 사기가 기승부릴 것으로 예상된다. 연말정산,과태료 조회 등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범죄도 속출하고 있다.
쉽게 이런 범죄에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최근 늘어난 ‘스미싱’,‘큐싱’ 등 범죄 예방을 위해 금융소비자는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스미싱과 큐싱은 각각 문자메시지(SMS)와 QR코드과 ‘피싱’을 결합한 합성어다. 공공기관이나 업체 등이 보낸 것처럼 가장해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해 금융정보 등을 탈취하는 데 이용된다.
카카오톡 채널 검색 후 ‘보호나라’ 채널을 추가하면 금융소비자는 내가 받은 문자가 ‘스미싱’이나 ‘큐싱’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가 직접 받은 문자를 복사해 붙여넣기 하거나 QR코드를 촬영하면 해당 내용이 정상 링크인지 악성 메시지인지 살펴볼 수 있다.
비대면 거래에 앞서 경찰청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사기 의심 전화 ·계좌번호 조회’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거래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계좌번호가 경찰청에 신고 접수된 의심 데이터 목록에 포함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를 이용하면 나도 모르는 사이 대출이 실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는 신용대출,카드론,신용카드 발급. 할부금융,예·적금 담보대출 등 개인의 신규 여신거래를 사전에 차단해 주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에 가입하면 은행,증권,보험,저축은행 외에도 농협,수협 등 상호금융 등 국내 금융회사와의 여신거래가 실시간으로 막힌다.
이용자는 현재 거래 중인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해 본인확인 후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또 기존 거래여부와 무관하게 가까운 금융회사 영업점에 방문해 본인확인 후 서비스를 해제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알 수 없는 출처의 앱 설치를 차단하는 것도 방법이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는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기능을 활성화해 범죄 악용되는 앱 설치를 막을 수 있다. 스마트폰 ‘설정’ 앱에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메뉴에 접속해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기능을 클릭하면 된다.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금값 오르는데, 사야지”…은행권 금계좌에 1조1000억 뭉칫돈
한은 총재 “금리 낮출 것…부동산 가격 올리는 부채질은 바람직하지 않아”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수도권에선 주담대 받기 더 힘들어지겠네”…이달 3단계 대출 규제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