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HaiPress
창작산실 공연 '남도 선소리…'
연출·대본 도맡은 지기학
전통음악에 대한 깊은 사유를 담으면서 동시대 관객에 닿을 수 있게 남도민요를 현대적으로 발전시킨 전통예술 공연이 관객을 맞는다. 남도민요는 전라도·충청도·경상도 지방에서 전문 음악인과 민중에 의해 주로 육자배기 토리(음악 양식)로 불려온 민요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지원하는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전통예술 공연 '남도 선소리: 시를 읊다'는 남도민요 선율에 맞게 작창(作唱)한 민요 일곱 곡을 연이어 선보인다. 서의철,유태평양이 작창했고 정보권,이성현,김수인,성윤형,국립창극단 슈퍼스타 김준수까지 젊은 소리꾼 일곱 명이 한 곡씩 노래한다. 연주는 전통음악의 발전을 추구해온 국악 집단 서의철가단이 맡았다.
전통예술 공연 '남도 선소리: 시를 읊다'.
'남도 선소리: 시를 읊다'는 우리 소리의 정수에 대한 성찰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연출과 대본을 맡은 창극 연출가 지기학은 한국 풍류 음악의 기원인 악곡 '영산회상'을 일곱 개 노래의 골조로 삼았다. 첫 곡 '님의 침묵'이 시작되면 거문고 현이 하나의 음을 생성하고 약간의 시차 뒤에 악사가 다른 음 하나를 튕긴다. 음과 음 사이 깊은 침묵은 불교음악이던 '영산회상'의 정신,속세와 진리가 둘이 아니며 구별이 무의미하다는 불이(不二) 사상,만물이 변하고 자아도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는 제행무상(諸行無常),제법무아(諸法無我)의 사유를 나타낸다. 그는 "중모리장단은 '영산회상'의 도드리장단에서 왔고,중모리는 시작과 끝을 있는 듯 없는 듯 처리하는 등 일체의 구별을 지양하는 장단이다. 여기에는 불교적 사유가 담겼다"고 말했다.
지기학은 특히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데 집중했다. 전통음악으로 동시대 관객에게 다가가기 위해 한용운,김소월,윤동주,김수영 등의 시를 노래의 사설로 차용했다. 현대어로 돼 있으면서 유명한 시들로 관객의 감정에 가닿기 위해서다. 그는 "전통음악은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과거에서 출발해 현대에 닿아 있는 첨단의 자리를 차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9일까지 서울 종로구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김형주 기자 / 사진 한주형 기자]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금값 오르는데, 사야지”…은행권 금계좌에 1조1000억 뭉칫돈
한은 총재 “금리 낮출 것…부동산 가격 올리는 부채질은 바람직하지 않아”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수도권에선 주담대 받기 더 힘들어지겠네”…이달 3단계 대출 규제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