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HaiPress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사진=연합뉴스) 31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의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차익실현 매물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제약사 압박 여파에 3대 주요 주가지수가 일제히 약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0.3포인트(0.74%) 떨어진 4만4130.9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는 각각 전 거래일보다 23.35포인트(0.37%),7.23포인트(0.03%) 하락한 6339.55,2만1122.45에 장을 마감했다.
증시는 ‘매그니피센트 세븐(M7)’으로 분류되는 MS와 메타가 전날 장 마감 후 2분기 호실적을 발표한 덕분에 상승세로 출발했다.
MS는 이날 장중 상승폭을 8.22%까지 키워 시가총액이 4조달러를 돌파했다. 엔비디아에 이어 사상 두 번째다. 하지만 시총 4조달러를 돌파한 뒤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오름폭을 절반 가량 반납하고 3.93% 상승으로 마감됐다.
메타는 11.25% 급등했다. 마찬가지로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가운데 연간 설비투자 전망치를 기존보다 상향 조정한 점이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
두 기업 외 AI 및 반도체 관련 기업들은 실적 악화를 보고하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 넘게 급락했다. 필라델피아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1개 종목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반도체 설계 기업 Arm은 13.44% 급락하며 유독 취약한 모습을 보였다.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하지 못한 데다 매출 전망치마저 시장 예상치와 거의 차이가 없어 실망감을 줬다.
트럼프가 일라이릴리 등 글로벌 제약사 17곳에 의약품 가격을 인하하라는 서한을 보내면서 투자심리는 더 위축됐다. 의료건강 업종지수는 2.79%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다음 날 발효될 상호관세 조치를 앞두고 경계감을 높였다. 백악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8월1일부터 새로운 상호관세를 발효하기 위해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오늘(31일) 오후나 저녁쯤 서명이 이뤄질 예정”이라며 “관세는 8월1일부터 발효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상호관세 발효를 두 차례 유예했지만 유예 조치가 종료되면서 8월1일 0시1분부터는 관세가 실제로 부과될 예정이다. 한국을 비롯해 관세 유예 기간 중 미국과 무역협정을 타결한 국가들은 합의된 관세율이 적용된다. 반면 미국과 무역 합의를 체결하지 못한 국가들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정한 관세를 부과받는다.
이날 장 마감 후 애플과 아마존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애플은 2분기 매출 940억4000만달러,주당 순이익 1.57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아마존도 2분기 매출 1677억달러,주당 순이익 1.68달러라고 밝혔다.
대부협회, 대한적십자사에 수해 지원금 2천만원 전달
토스뱅크, 상반기 순익 404억원…65% 늘어 역대 최대
중국시장 막혔는데 중국제품엔 보조금 주며 시장 내줘…전기버스 불공정무역 ‘만시지탄’ [기자24시]
새마을금고재단, 전국 사회복지시설에 차량 지원
“또다른 상생금융”...금융 취약층 지원 압박하는 당국
“5년 뒤 내 통장잔액 얼마?”...국민은행, 청년자산 예측해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