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개미투자자 1억 넘어 … 주가 20년간 S&P의 1.5배 올라"

2025-09-08 HaiPress

아시시쿠마르 차우한 인도국립증권거래소 CEO


시총기준 세계 4위 인도 증시


20년간 주가 年12.6%씩 올라


IPO 등 자금조달도 세계 1위


젊은 인구구조·튼튼한 내수로


세계 최고수준 경제성장 중


지금이 저가매수 절호의 기회

아시시쿠마르 차우한 인도 증권거래소 CEO는 9일 세계지식포럼에 참석해 투자처로서의 인도의 매력을 주제로 발표한다 . NSE

"인도에 투자하세요. 지난 20년간 인도 증시의 연평균 상승률은 미국 S&P500지수의 1.5배가 넘습니다."


9일 개막하는 제26회 세계지식포럼에 참석하는 아시시쿠마르 차우한 인도국립증권거래소(NSE) 최고경영자(CEO)가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인도 증시가 지난 20년간 연평균 12.6% 오른 반면 같은 기간 S&P500지수는 연평균 8% 상승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인도 주식시장이 장기적으로 선진국·신흥국 증시는 물론 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는 게 차우한 CEO 얘기다. 그가 기준으로 삼은 것은 인도 대표 주가지수인 니프티50이다. 니프티50은 NSE에 상장된 기업 중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큰 상위 50개 기업으로 구성된다.


차우한 CEO가 첫손에 꼽은 인도 증시의 강점은 다른 개발도상국 대비 성숙한 자본시장이다. 그는 "1인당 연간 소득이 3000달러 수준인 국가 중 인도만큼의 규모와 깊이를 가진 자본시장은 없다"고 강조했다. 인도는 시총 기준으로 미국·중국·일본에 이어 네 번째로 큰 주식시장을 자랑한다.


인도 현지 투자자 수는 1억1800만명에 달한다.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 등이 중복 계좌를 제거하고 집계한 실질 투자자 수다. 차우한 CEO는 "인도 투자자는 최근 5년간 4배 늘었다"며 "현재 인도 증시의 개인투자자 비중은 18.5%로 외국인을 웃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도는 전통적으로 부동산과 금을 투자 수단으로 선호해왔지만 지난 10년간 금융자산 비중이 급격히 커졌다"고 덧붙였다.


인도 증시는 관세전쟁 등 글로벌 충격 속에서도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직전 1년간 인도 투자자들이 720억달러(약 100조원)를 쏟아부으며 외국인 자금 유출(146억달러·약 20조원)을 보완했다는 게 그의 얘기다.


인도 증시는 기업공개(IPO) 규모와 자금 유입 측면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NSE에서만 IPO 268건을 통해 자금 195억달러(약 27조원)를 조달했다. 뉴욕증권거래소(159억달러),상하이증권거래소(88억달러) 등을 앞지른 수치다.


차우한 CEO는 "내수 중심의 탄탄한 경제 구조가 증시에 힘을 보태고 있다"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제 성장률과 소득 증가,젊은 인구 구조 등이 소비재 산업에 튼튼한 수요 기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소비재 산업 중에서도 차우한 CEO가 지목한 유망 분야는 자동차다. 그는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인도 증시에서 IPO를 통해 33억달러(약 4조5000억원)를 조달했고 인도를 주요 생산기지로 삼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며 "지난 10년간 인도 중산층의 자동차 보유율이 2.5배 증가했다. 고가 차량 선호도가 뚜렷이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우한 CEO는 "지난해 현대차의 IPO는 인도 증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였다"며 "자금 조달 측면에서 거대하고 성장 중인 인도의 혜택을 톡톡히 본 셈"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의 관세 부과는 위험 요인이다. 8월 27일부터 인도에서 생산한 미국 수출품에는 총 50%의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오히려 저가 매수 기회로 평가하기도 한다. 위기 국면에서 인도 정부가 경제 구조를 개선한다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타결됐을 때 큰 반등이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한국 개인투자자가 인도 증시에 직접 투자하기는 어렵다. 그 대신 국내 증시에서 거래되는 인도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나 미국 증시에 상장된 인도 기업의 미국예탁증서(ADR)를 통해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


차우한 CEO는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세계지식포럼에 참석해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과 투자처로서의 인도의 매력을 주제로 발표한다.


[김희수 기자]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인도 증시 장기 상승의 주요 배경은?

니프티50 성장세가 글로벌 자본시장에 미칠 영향은?

검색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2009-2020 서울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