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HaiPress
[사진 = 연합뉴스] 소비자단체가 프랜차이즈 커피업체들이 원두 가격 상승을 명분으로 메뉴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15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소비자교육중앙회·한국여성소비자연합·한국YWCA연합회·한국소비자연맹 등 12개 단체)는 “아메리카노 한 잔에서 원두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에 불과하다”며 “더 이상 원두값 급등을 이유로 가격 인상을 정당화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최근 이어지는 커피값 인상으로 소비자 부담이 커지자 주요 프랜차이즈의 영업 실적과 원두 가격 변동을 조사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커피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6% 올랐다.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7%)의 세 배가 넘는 수치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원두값 상승을 주된 인상 요인으로 내세우지만,협의회가 추정한 결과 에스프레소 샷 한 잔에 사용되는 원두(약 10g) 원가는 111원 수준이었다.
스타벅스 톨 사이즈 아메리카노(2샷) 가격이 4700원인 점을 고려하면 원두 가격 비중은 4.7%에 불과하다. 저가 브랜드 아메리카노(1700∼1800원)의 경우에도 원두값 비중은 12.3∼13.1% 수준에 그쳤다.
협의회는 “커피값에는 컵·빨대 등 부재료,임대료,인건비,판매관리비 등이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스타벅스 톨 사이즈 아메리카노(2샷) 기준 원두 가격 비중은 4.7%에 불과하다. [사진 = 소비자단체협의회 제공] 또 협의회가 스타벅스·메가MGC커피·투썸플레이스·컴포즈커피 등 최근 가격을 올린 브랜드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모두 이익을 유지하거나 확대하고 있었다.
스타벅스는 지난해 매출 3조원을 돌파하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6.5% 늘었고,메가MGC커피도 4년간 평균 72.6%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투썸플레이스의 영업이익은 25.2% 증가했으며,컴포즈커피는 재무정보 공시 대상이 될 만큼 외형이 커졌다.
협의회는 “이처럼 기업들이 양호한 실적을 내는 상황에서 소비자가격 인상의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싶다”며 “브랜드 지속성과 소비자 신뢰를 위해 공정하고 투명한 가격정책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KB라이프, 실버타운 ‘종로 평창 카운티’서 미니콘서트 개최
외국계 금융사 CEO만난 이찬진 금감원장
주류 업계 휩쓴 제로 열풍…누적판매 7억병 돌파한 ‘이 소주’
어르신 車사고내면 십중팔구 ‘급발진’ 주장…20년새 사고도 약 7배 늘었다
정무위원장 찾은 금감원 비대위...“관치금융 시도 막아달라”
중기부 ‘TIPS’ 운영사 30곳 신규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