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채권 절반 가진 대부업 암초 만난 李정부 '배드뱅크'

2025-10-14 HaiPress

민간보유 13조 중 6.7조 차지


대부업 협조없인 탕감 난항


"정부 너무 헐값에 사려해"

7년 이상 연체된 5000만원 이하 빚을 탕감해주는 배드뱅크인 '새도약기금'이 이달 말부터 본격 가동되지만 대부업계의 협조 없이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새도약기금 매입 대상인 민간 금융권의 연체채권 중 절반 이상을 대부업체가 갖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확보한 금융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새도약기금 매입 조건에 해당되는 7년 이상 5000만원 이하 민간 보유 연체채권 12조8603억원 중 대부업체가 6조7291억원을 가지고 있어 비중이 52.3%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업권별로 보유한 연체채권 규모가 구체적으로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대부업 비중이 절대적인 만큼 대부업체 협조 없이는 새도약기금 정책이 순항하기 어렵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대부업계가 정부에서 제시한 5% 안팎의 채권 매입가율이 너무 낮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어서다. 정부가 너무 싼값에 연체채권을 사들이려고 한다는 것이 대부업계의 입장이다. 한 대부업계 관계자는 "대부업체의 연체채권 매입가율은 평균 25% 안팎이다. 정부가 제시하는 비율이 너무 낮은 셈"이라며 "출구 전략을 주지 않으면 참여율이 저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대부업체의 연체채권 규모가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에서 실제 제도가 잘 운영될지 미지수"라며 "정부에서는 나랏돈으로 빚을 탕감해준다고 생색내지만 용두사미로 끝나지 않을지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정부는 "협상을 통해 대부업체의 적극적인 매각을 독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희수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우리금융지주

316140,KOSPI

24,850

- 1.19%

우리금융지주

현재가 24,850

-1.19%

10.14 15:30

우리금융지주는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로,은행,카드,캐피탈,저축은행 등 다양한 금융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새도약기금 정책은 7년 이상,5천만원 이하 연체채권을 금융회사 및 대부업체로부터 매입해 소각하거나 채무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은행권은 새도약기금 재원 분담에서 약 80%를 부담하며,우리금융지주 산하 계열사들도 연체채권 매각 및 자산 건전성 관리에 있어 정책 변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금융권은 금리 변동,가계부채 증가,정부의 금융정책 변화 등 외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우리금융지주는 과거 부실채권 정리,자회사 통합 등으로 재무 건전성 개선을 추진한 바 있습니다. 정책 시행이 금융지주사의 리스크 관리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대부업체 연체채권 비중이 높은 배경은?

새도약기금 도입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검색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2009-2020 서울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