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HaiPress

쏘렌토 [사진출처=기아] 기아가 올해 3분기(7~9월)에 해당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지만 미국 관세 여파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반토막 났다.
기아는 31일 컨퍼런스콜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2025년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기아는 2025년 3분기에 전년동기보다 2.8% 증가한 78만 5137대를 판매했다. 매출액은 28조6861억원으로 8.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조4622억원으로 49.2% 감소했다. 경상이익은 41.6% 감소한 1조8868억원,당기순이익(비지배 지분 포함)은 37.3% 줄어든 1조4225억원을 기록했다.
기아는 3분기 실적과 관련해 “글로벌 하이브리드 수요의 지속적 증가와 전기차 판매 확대 등으로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판매 및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면서도 “미국 관세 영향 본격화 및 글로벌 인센티브 증가,기말환율 급등에 따른 충당부채의 평가손 등으로 손익이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2025년 3분기 기아의 판매는 국내에서 전년 대비 10.2% 증가한 13만8009대,해외에서 1.4% 늘어난 64만7128대로 집계됐다.
국내 시장에서는 쏘렌토,카니발을 중심으로 한 고수익 RV 차종 판매 증가와 EV4 신차효과가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성장세를 보였다.
해외의 경우 미국의 견조한 HEV 수요 강세를 중심으로 북미 권역의 수요 증가세가 이어졌고 아태,중남미 등 신흥 시장에 판매 물량을 확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서유럽 시장에서는 EV3의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슬로바키아 공장의 전동화 전환에 따른 일부 모델 단산 및 한시적 생산 조정으로 판매가 감소했다.
인도 시장에서는 9월 말 시행된 상품서비스세 인하를 앞두고 발생한 대기수요에 따라 판매가 줄었다.
3분기 매출액은 친환경차 판매 확대와 상품 부가가치 기반 가격효과 지속에 따른 대당 판매가격(ASP)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8.2% 증가한 28조686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원가율은 이 같은 매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미국 관세의 본격적인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4.3%포인트 상승한 81.1%를 기록했다.
판매관리비율은 판매보증비 및 R&D 비용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5%포인트 상승한 13.8%를 기록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글로벌 판매 확대,상품 부가가치 향상 등 긍정 요인에도 불구하고 본격 반영된 미국 관세 영향,주요 시장 경쟁 확대로 인한 인센티브 증가 등으로 전년동기보다 49.2% 줄었다. 영업이익률은 5.1%를 기록했다.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Powered by
perplexity
119,900
+ 3.18%
기아
현재가 119,900
+ 3.18%
10.31 15:30
기아는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로,SUV·RV 차량,하이브리드 및 전기차(EV) 등 다양한 차종을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최근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라인업(EV3,EV4 등) 확대를 통해 친환경차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생산기지와 글로벌 유통망,브랜드 파워,그리고 고수익 RV 차종 중심의 제품 포트폴리오가 주요 경쟁력입니다.
2025년 3분기 실적에서 기아는 글로벌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수요 증가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과 판매량을 기록하였으나,미국 관세 영향 본격화로 인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미국 시장에서의 관세 부담이 매출원가율 상승과 손익 둔화로 이어졌으며,북미와 신흥국 등 해외 판매 확대와 국내 고수익 차종 판매 증가가 매출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EV4 등 신차 효과와 SUV 하이브리드 판매 호조가 국내외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나,미국 관세와 글로벌 인센티브 증가,환율 변동 등 외부 요인으로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받았습니다.
자동차 산업은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글로벌 인센티브 경쟁,환율 급등,친환경차 전환 가속화 등 외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기아는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나,관세 등 외부 변수에 따른 비용 구조 변화와 수익성 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Powered by
perplexity
미국 수입차 관세 강화가 국내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은?
글로벌 하이브리드·전기차 수요 증대의 배경은?
검색
은행권 전세대출금리 4달 만에 하락…주담대는 ‘연 3.96%’ 보합
근로·자녀장려금 깜빡했다면, 12월1일까지 신청하세요
‘불장’에 희비 교차했다…60대 여성 주식 ‘대박’ 20대 아들은 폭망, 왜?
3500억 규모 전용 펀드 만들어 도시광산 캔다
SGC솔루션, 전자레인지 조리용 유리찜기 출시
“현금부자만 청약”...‘30억 로또’ 래미안 트리니원, 대출은 2억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