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HaiPress
신한금융 2024년 실적 발표
해외비중 17%까지 높아져
은행 '리딩뱅크' 지위탈환
카드는 1년새 순익 8% 뚝
올해 1.8조 주주환원 나서
신한금융그룹이 작년 한 해 해외에서만 758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내며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좋은 글로벌 실적을 냈다. 그룹 전체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3.4%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해외에서 거둔 순이익이 직전 해보다 2094억원 늘어나면서 그룹사 전체 이익 증대에 기여했다.
6일 신한금융그룹은 2024년 한 해 4조517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고 밝혔다. 이는 견고한 해외 실적이 뒷받침했다. 그룹 당기순이익 내 해외 비중은 16.8%까지 높아졌다. 2023년 12.6%에 비해 4.2%포인트 올라갔다. 신한베트남은행이 직전 연도 대비 13.4% 늘어난 2640억원을,일본 법인인 SBJ은행이 전년보다 17% 증가한 1486억원을 벌었다. 두 법인 모두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KB금융지주는 인도네시아 KB뱅크(전 부코핀은행)의 적자로 사실상 해외에선 돈을 벌지 못하고 있다. 하나금융의 경우 작년 해외에서 5656억원을 벌어들여 전체 당기순이익의 15.1%를 담당했다.
그룹 전체 실적에선 '순익 5조 클럽'에 입성한 KB금융지주에 밀렸지만,은행 부문에선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을 제치고 신한은행이 '리딩뱅크' 자리에 올랐다. 신한은행은 작년 한 해 3조6954억원의 순익을 냈는데,이는 전년 대비 20.5%나 늘어난 것이다. KB국민은행은 3조2518억원,하나은행은 3조3456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다만 KB국민은행이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 사태로 8000억원이 넘는 충당금을 쌓은 영향이 커 진짜 리딩뱅크 싸움은 올해라는 이야기도 있다.
비이자이익의 부진은 아쉬운 대목이다. 신한금융그룹이 지난해 거둔 비이자이익은 3조2575억원으로 직전 해보다 5% 감소했다. 수수료 수익은 2.6% 성장했으나,달러당 원화값 하락으로 외환 파생 및 유가증권 관련 손익이 7.3%나 줄어들면서 비이자이익은 성장을 이어가지 못했다.
계열사별로 보면 신한은행과 신한투자증권과 신한라이프는 날았고,핵심 계열사인 신한카드는 부진했다. 금융사고로 홍역을 치르긴 했지만 신한투자증권은 2023년 대비 143.6%나 증가한 245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신한라이프는 11.9% 늘어난 5284억원의 순익을 거뒀다.
신한카드는 전년 대비 7.8% 줄어든 572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신한카드의 연간 당기순이익 6000억원 선이 깨진 것은 2019년 이후 5년 만이다. 이에 대해 신한카드 측은 "4분기에 시행한 희망퇴직 등 비용 인식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호실적을 바탕으로 신한금융그룹은 '밸류업'을 위한 주주환원책도 실행한다. 이날 실적 발표에서 신한금융그룹은 2025년 총주주환원 규모가 1조7500억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올해 6500억원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정해 4대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많은 자사주 매입과 소각 계획을 냈다. 이 중 1500억원은 이미 1월 취득을 완료했고,나머지 기간에 추가로 5000억원을 매입·소각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KB금융지주는 5200억원,하나금융그룹은 4500억원어치의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배당에는 약 1조1000억원이 투입된다.
금융당국이 강조하고 있는 자기자본(CET1) 비율 13% 이상도 유지하겠다는 계획이다. 신한금융그룹의 CET1은 13.03%로 환율 등 요인에 따라 13%를 간신히 넘겼다. 이 때문에 위험가중자산(RWA) 관리 강화에 주력한다.
[박인혜 기자]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금값 오르는데, 사야지”…은행권 금계좌에 1조1000억 뭉칫돈
한은 총재 “금리 낮출 것…부동산 가격 올리는 부채질은 바람직하지 않아”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수도권에선 주담대 받기 더 힘들어지겠네”…이달 3단계 대출 규제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