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IDOPRESS
관세 대응 재고확보 움직임에
반도체 등 수출액 크게 늘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지난달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액이 전년대비 9.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상호관세 대비 목적으로 기업들이 재고 확보에 나서면서 미국향 ICT 수출액은 19.4% 급증했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3월 ICT 수출액은 205억 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3월 수출액 188억 1000만 달러 대비 9.4% 늘어난 수치다. ICT 수입액은 122억 1000만 달러로 전년동월 대비 6.8% 늘어났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83억 70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특히 수요기업의 메모리 재고 감소와 고부가 메모리(HBM,DDR5) 수요 증가에 힘입어 지난달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동월 대비 11.8% 늘었다. 휴대폰은 해외 생산기지로의 부분품 수출이 늘어나며 수출액이 14.5% 증가했고,컴퓨터·주변기기는 미국과 유럽연합 등 서버·데이터센터 투자확대에 따라 수출액이 28.1% 늘었다. 디스플레이는 휴대폰 신제품 출시 등 ICT 전방산업의 수요 확대로 수출액이 1.3% 늘어나 8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지역별로는 미국(19.4%),베트남(14.6%),일본(3.3%) 등에서 전년동월 대비 수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반도체 수출액이 3.5% 증가했고,컴퓨터·주변기기 수출액은 94.5% 늘었다. 주요품목에 수출 호조세가 나타나면서 미국향 ICT 수출액은 17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지난달 중국향 ICT 수출액은 전년대비 12.2% 급감했다. 디스플레이(2.8%)와 휴대폰(40.8%)는 전년대비 수출액이 증가했지만 반도체 수출액이 16.8%,컴퓨터·주변기기 수출액이 23.2% 줄어들면서 전체 수출액이 감소했다.
지난달 ICT 수출이 호조세를 보였지만 이같은 흐름이 계속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미국 정부가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소비자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는 면제한다고 발표했지만,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전자 부품 전체에 대한 대규모 관세 부과가 예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13일(현지 시각) ABC 방송에 출연해 “소비자 전자제품은 상호보복 관세에서 면제되지만,반도체 관세에는 포함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향후 1~2개월 이내에 반도체를 겨냥한 특별 관세가 시행될 것”이라며 “반도체,칩,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등은 반드시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복마전 MG새마을금고...임직원이 대포통장 만들어 팔아 넘겨 ‘징역형’
강선우, 겸임교수 당시 ‘수업 방치’…대선 캠프 합류 시기와 겹쳐
“우리가 서민상품 강자”...농협은행, 취약층 자금공급 1위
홈앤쇼핑, 영동전통시장과 상생모델 구축...지역 소상공인 살리기 ‘가속’
목표만 높게 잡고 실행계획 없이 뒷짐만…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내로남불’ [기자24시]
韓 성장률 전망 0.8%까지 떨어져…ADB “수출 위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