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HaiPress
단종을 앞둔 범용 D램 더블데이터레이트4(DDR4) 가격이 오르는 가운데 낸드플래시 가격도 올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18일 글로벌 낸드플래시 제조사들이 수익성 높은 고용량 제품에 집중하면서 저용량 중심의 유통 물량이 줄어든 영향으로 3분기 낸드플래시 계약 가격이 평균 5~10%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512기가바이트(GB) 이하 저용량 제품군의 경우 최대 13%까지 인상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번 가격 급등의 핵심 원인으로는 주요 업체들의 감산이 지목된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키옥시아,웨스턴디지털 등 주요 5개 낸드플래시 제조사는 올해 상반기에만 10~15% 수준의 감산을 단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 기업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생산량을 조절해 왔으며 공급 부족은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2026년까지 장기화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올해 들어 낸드플래시 가격은 지속적인 오름세를 보였다.
트렌드포스는 전체 낸드플래시 생산량 자체가 줄고 있으며,3D 낸드 기반 웨이퍼 공급 역시 감소세에 접어들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올 3분기 낸드 웨이퍼 가격도 8~13%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박소라 기자]
낸드플래시 제조사 감산이 가격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고용량 중심 생산전략이 메모리 시장 구조에 가져올 변화는?
검색
한국어능력시험 대리 응시 중국인 또 적발…경찰 “배후 조직 조사”
“축의금 5만원 받으면 적자네”… 결혼식 식대 현실은?
李대통령 “산재 반복 기업 주가 폭락하게”...작정하고 생중계
iM뱅크, ‘iM외화배송서비스’ 출시
[속보] 대통령실 “美 관세협상,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도 논의중”
“자동차 사고 환자 과잉진료냐, 아니냐”…車보험 개편안 의견 분분